목록전체 글 (32)
36, 개발자 도전 기록 블로그
더보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 를 기술한 것 정의만 보면 간단한데 여러번 보아도 항상 애매모호한 개념인 것 같다.
margin auto 값을 주면 브라우져가 자동으로 남은 width의 공간을 계산하여 적절하게 분배해준다. 그래서 가운데 정렬의 꼼수로 이용하기도 하는 거였다. 단, 요소에 width 가 적용되어 있어야 한다.
우선, 소프트웨어 공학에서의 비즈니스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사업' 등의 맥락과 다르다. 바로 '소프트웨어가 풀고자 하는 현실 문제'를 가리킨다. 즉,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이유, 목적이다. 참고 : https://velog.io/@eddy_song/domain-logic
사용자 지정 속성(CSS 변수, 종속 변수)은 CSS 저작자가 정의하는 개체로, 문서 전반적으로 재사용할 임의의 값을 담습니다 by mdn 1. CSS 변수 정의 --변수명 : 값으로 정의하며 그 자체 만으로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ex { --color: black; color: white; } 2. CSS 변수 접근 .ex { --black: #000000; background: var(--black); } 3. CSS 변수 기본값 변수를 정의할 때 두번째 속성값이 기본값이 된다. .ex { color: var(--color, black); } 4. CSS 변수 상속 천국 지옥 form { --heaven: #ffffff; --hell: #000000; } button.heaven { color: ..
HTML문서에서 CSS를 도드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 노마더코더 강의를 보면서 유용하다 싶어서 검색해서 보고 있는데 옛날에나 쓰던 방식이고 속도 면에서 link가 우월하다고 한다.. @import는 직렬방식 link는 병렬방식으로 css를 다운 받기 때문이라고.. 그래도 일단 써보면서 link로 갈아타야겠다.
복붙 하기보다는 내가 이해한 바대로 컴포넌트의 정의를 내려보자면 프로그래밍에 있어 최소한의 기능을 하는 재사용 가능한 가장 작은 단위. (비슷한 개념의 모듈과 차이점은 재사용) 자바에서 보면 하나의 메소드는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게 바람직하다 배웠는데 그것과도 비슷한 것 같다. 거기다 인터페이스하고도 연결이 되고 참으로 심오하다. 그리고 모듈과도 개념이 비슷한데 여러 글을 참고해도 이해는 안 되지만 모듈은 실질적으로 구현이 된 단위, 컴포넌트는 실제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엔티티(개체)라고 일단 기억해두자..
CSS 클래스 네이밍 규칙으로 Block(블록), Element(요소), Modifier(수정자)를 기준으로 어떤 "목적인가"에 따라서 이름을 짓는다. 다음과 같이 HTML 코드가 있을 때, block class를 block, black_element를 element, block--big, block--red를 modifier라고 하며, Block은 재사용 가능한 기능적으로 독립된 컴포넌트. Element는 Block를 구성하는 단위. Modifier는 Block이나 Element의 속성을 말한다. 지금까지는 id와 class를 혼용했는데 언제인가 id 보다는 class를 쓰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본 것도 같고, 한 번 BEM 방식으로 앞으로 코딩을 해보려고 한다. 깊게 공부하고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강..